카테고리 없음 / / 2021. 12. 7. 17:13

[포워딩 업무] 회계 파트 상계 처리 업무 1탄

포워딩 업무 중 회계 파트에서 근무하시는 분이 계신다면 양자 상계처리, 다자간 상계처리 등 상계처리에 대한 일을 해보셨거나 하시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직전에 올린 상계처리 정의 편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진행 방식이 쉬워 보이진 않습니다. 저 또한, 업무를 진행 할 때 주변에 문의를 많이 했었지만 돌아오는 최종 답변은 "은행에 문의 하는 것이 정확하다"였습니다. 

 

a1

 

│은행 문의 전 확인 내용│

그럼 은행에 문의하기 전에 어떤 내용들을 확인해야 할까요? 모든 포워딩, 제조사들 마다 해외 정산 처리를 하는 프로세스는 각기 다를 겁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먼저! 나의 회사가 어떠한 방식으로 정산을 하는지에 대한 정리가 필요합니다. 해당 정리를 바탕으로 은행에 문의를 해야지, 무턱대고 '~할 예정인데' 라는 가정형으로 문의를 하면 한국은행에서 돌아오는 답변 또한, 만약 그렇다면 이렇게 처리하라는 가정형의 답변을 받게 될 것입니다. 그럼 실제 상계처리를 해야 할때 다시 은행에 문의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길 수 있습니다.

저는 처음 진행 전 우리회사가 진행하게 될 방식에 대한 예시를 가정하여 아래와 같이 혼자서 그려 보았습니다.

 

1. 이렇게 진행 되는 걸까?

상계 처리 되는 금액에 대해서 정리 해 놓은 사진

2. 이렇게 진행 되는 걸까? 그렇다면 상계 센터는 DS CANADA 되는 걸까?

상계 처리되는 과정에 대해서 정리 해 본 사진

저는 이렇게 두가지의 그림을 A4용지에 그려가면서 머릿속 내용을 정리했습니다.그리고, 최종 진행 상황이 결정 될 때까지 기다렸습니다. 그 기다림은 두려움이 훨씬 컸습니다. 한 번도 안 해 본 일이었기 때문이죠. 포워딩 업무 중에 회계 분야를 담당하게 되면서 두려운 일들이 계속 생기고 있지만 하나씩 해쳐 나가보려고 합니다.

a2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