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1. 12. 6. 16:47

다국적 기업(global forwarding)의 상계 처리란?

다국적 기업에서 근무 중이시며 다자간 상계 처리가 방식이 막막한 포워딩 해외 정산 담당자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글을 적어 봅니다. 먼저, 한국은행에서 제공하는 다자간상계처리에 대한 정의는 아래와 같습니다.

 

│다자간상계 (Multilateral netting)│

상계는 다국적 기업의 본사와 지사 또는 지사 상호 간에 발생하는 채권, 채무를 개별적으로 결제하지 않고 일정기간 경과 후에 차액만을 정기적으로 결제하는 제도로서 두 본, 지사 간에 일어나는 양자 간 상계(Bilateral netting)와 3개 이상의 본, 지사 간에 일어나는 다자간 상계(Multilateral neeting)로 구분함

 

다자간 상계는 통상 그룹내에 중앙 집중적인 상계센터 (Netting center)를 설립하여 동 센터에서 자회사간의 채권, 채무 상계 금액을 총괄 관리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며 다국적 기업의 본, 지사 간 거래 빈도 및 거래 금액이 감소하는데 따른 비용 절감, 환리스크 축소 등의 이점이 있음.

 

예를 들어, 미국 본사가 한,일 지사에 각각 미화 4천 달러 및 3천 달러의 채권이, 한. 영 지사에 각각 미화 5천 달러 및 7천 달러의 채무가 있는 경우 이를 상계센터를 통하여 정산하면 채무 미화 5천 달러를 지급하게 됨.

양자간 상계 처리 방식 사진

 

다자간 상계 처리 방식 사진

Bilateral Transactions between Branches Third Party Offsetting (Netting)

* 참고자료 : 한국은행

 

│관련 내용을 봤을 때 궁금한 점들 (Q&A)│

1. 본, 지사 관계에 있는 회사에만 적용이 되는 걸까?

2. 해외 다른 많은 AGENT들을 한번에 상계 처리할 수는 없을까?

3. 상계센터를 어디가서 설치해야 될까?

4. 한국은행에 가서 설치하면 될까?

5. 필요한 서류가 많은데 어떻게 준비해야 되지?

 

실제로 각 회사 마다 해외 정산을 하는 업체(AGENT)와 금액, 방식이 다 다른데 도대체 어떻게 이 상계 처리를 진행해야 될까요? 처음 상계 처리를 해야 할 때 가장 막막한 부분입니다. 다국적 기업에서는 다자간 상계 처리 방식을 선호한다고 하니 글로벌한 회사에서 일하기 때문에 글로벌한 인재가 되어가고 있다고 좋게 생각하면서 일을 해보려고 합니다.

 

실제 업무 진행 담당자로써 진행한 업무 프로세스를 순차적으로 알려 드릴께요.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