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 / 2022. 2. 18. 10:54

월세 연말정산 및 원천징수 내역 확인 방법

2021년 연말 정산이 마무리되어 2월 급여가 25일에 지급되는 회사라면 다음 주에 급여에 포함되어 차감 혹은 추가되어 금액이 나오게 될 텐데요. 1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전세 혹은 월세를 내시는 분들이 많으 실 것 같습니다. 전세 대출을 받았을 경우에는 홈텍스의 간소화 시스템을 통해서 조회를 하게 되면 관련 내용이 자동으로 나오게 되어 있는데요. 월세는 따라 나와 있지 않죠 그래서 어떻게 증빙서류를 준비해서 내시면 되는지 확인해 드릴게요.

 

은행 조회

연말 정산을 위해서 라도 월세는 여러 은행이 있겠지만 그중 한 계좌를 지정해서 그 계좌에서 나가는 게 연말 정산 조회 시 편리합니다. 은행에서 1년 치 조회 내역을 엑셀로 다운로드하시고요. 대부분 집주인 개인 계좌로 송금하셨을 거라 이름으로 검색하시면 나올 거예요. 아니면 엑셀 파일이니 정렬을 눌러서 해당 이름만 찾아서 뽑아내시면 됩니다.

 

은행-월세-출금내역-조회사진
월세 출금 내역 조회

이렇게 나온 자료를 출력해서 제출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월세 부분에 대해서만 공제가 가능하지 보증금 부분은 공제대상이 아니니 참고해주세요.

 

카카오 뱅크

카카오 뱅크 계좌에서 월세를 지급하시면 이체 확인증을 출력 할 수 있다고 합니다. 다른 은행은 이런 기능은 아직 준비가 안되어 있는거 같아요. 이체를 하실 때 '몇월 월세' 라고 기재해서 보내시면 이체 확인증을 바로 출력 하실 수 있습니다. 방법은 카카오뱅크 어플을 실행 하시고 고객센터 > 증명서 발금 > 예금 > 이체확인증 > 다음 누르시면 앱에서는 일단 작업이 끝났습니다. 그리고 PC로 인터넷에서 카카오뱅크 홈페이지 > 고객센터 > 나의 증명서 발급 내역 > 프린트 이렇게 진행하시면 됩니다. 

 

이렇게 월세 관련 증빙 서류를 제출하게 되면 아래와 같이 원천 징수 영수증 69번에 월세액 공제액이 나오게 됩니다.

원천징수영수증-월세액-공제-관련사진
원천징수영수증 월세액 공제

 

이렇게 되어야지 최종적으로 세액공제를 받은 거니 원천징수 영수증 받으시면 꼭 확인해 보세요. 월세 관련 연말정산 증빙자료 준비 및 공제액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알려 드렸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