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계, 경리부서에는 매달 10일 이후에 월 마감을 진행해야 합니다. 그중 하나가 바로 홈택스 매입, 매출 마감입니다. 회사 자체 시스템에 등록된 내용과 실제 홈택스에 전송된 내용이 일치하는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회사의 회계 시스템은 각자 프로그램에 맞추어 확인하시면 되지만 홈택스에서는 어디서 어떻게 내용을 확인하시는지 궁금하실 것 같아서 정리해 보려고 합니다.
요즘 연말 정산을 해야 하는 시기 이다 보니 연말 정산 기존과는 다른 홈페이지 메인 화면이 보이실 텐데요. 당황하지 마시고 진행하시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순서 설명드릴게요.
홈택스 매입 매출 확인 방법
1. 홈택스에 들어가서 공인인증서를 통해 로그인을 진행 합니다. https://www.hometax.go.kr/
2. 조회/발급 > 합계표 및 통계조회 > 전자(세금)계산서 합계표 조회를 클릭합니다.
3. 분류에서 전자세금계산서 > 매출 > 월별 > 년도와 월 클릭 후 > 조회하기 > 명세서 조회 > 파일 내려받기 (엑셀 파일) > 명세서 출력 (실제 프린트하여 보관 필요)
* 매출 뽑을 때는 이렇게 진행 하시고 매입할 때는 매출 부분을 매입으로만 클릭하셔서 동일하게 진행하시면 됩니다.
* 엑셀 파일을 다운 받는 이유는 회사 시스템에 입력된 내용과 일치 한지 확인하기 위해서입니다.
4. 동일하게 분류에서 전자계산서도 확인하셔야 합니다. 순서는 동일합니다. 분류만 전자계산서를 클릭하셔서 매입/매출을 각각 진행하시면 됩니다.
전자세금계산서와 전자계산서의 차이
여기서 궁금한 점이 생기 실 텐데요. 전자세금계산서와 전자계산서의 차이는 무엇일까입니다. 전자세금계산서란 부가세가 있는 계산서이며 다만, 영세율 계산서는 부가세가 0원이지만 세금계산서로 분류됩니다. 전자계산서는 부가세가 없는 것 즉, 면세일 경우를 뜻합니다. 차이가 이해가 되실까요? 여기서 전자계산서가 많이 생소하실 텐데요. 부가세가 없는 면세 시 전자로 계산서를 발행하는 경우가 전자계산서이며 종이로 발행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 때는 회사 시스템에는 입력하고 분기 신고에도 해당 내역을 포함해야 하지만 홈택스에는 해당 종이 계산서는 확인이 되지 않습니다. 왜일까요? 네 전자계산서 이기 때문입니다. 말 그대로 전자상으로 발행된 계산서만 홈택스에서 확인이 가능한 거예요. 처음에는 조금 헷갈리실 거예요. 즉 전자계산서는 회사 시스템에 입력된 내용과 홈택스 내용이 상이 해도 문제가 되는 게 아니니 당황하지 않으셔도 돼요.
회사 시스템과 일치 여부
위에 설명 드린 내용과 같이 회사 시스템의 전자 세금계산서 매입/매출의 경우에는 홈택스와 건수/공급가액/세액/합계 금액이 모두 일치해야 합니다. 그래서 홈택스, 회사 프로그램 모두 엑셀로 다운로드하여서 맞는지 확인을 하셔야 하는데요. 이때 확인해야 되는 건 4가지입니다. 공급 받는 자 등록번호 / 매수 / 공급 가액 / 세액 이 4가지가 모두 일치해야 제대로 회사 시스템에도 입력된 게 맞으니 마감을 진행하셔도 됩니다. 하나라도 틀린다면? 어딘가 잘못된 거겠죠? 상이한 부분을 확인해서 10일 마감 전에 수정하시거나 발행하시거나 취소 하시거나 작업을 하셔야 합니다. 이런 작업을 할 수 있도록 10일까지 정부에서 마감 기간을 주는 거니까요. 그럼, 전자계산서의 경우에는 어떨까요? 네 위에 말씀드린 대로 홈택스와 일치할 수도 불 일치 할 수도 있으니 이 건 불 일치하더라도 당황하지 마시고 종이 계산서로 받은 건이 있는지 확인해보시면 됩니다.
월 마감 홈택스 매입 매출 확인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이렇게 매달 마감만 문제없이 진행하시면 분기별 부가세 마감하실 때도 틀린 내용 없이 제대로 신고가 가능 하니 항상 월 마감으로 이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